반응형

전체 글 45

AZURE MS SQL 데이터베이스 생성해 보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번에 생성한 AZURE 무료사용 1년 계정을 가지고 SQL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아직 AZURE 무료사용 1년 계정을 만들지 않았다면 여기 포스팅 링크를 통해 무료계정을 생성하고 와 주시기 바랍니다. 자 이제 AZURE 포탈에 접속해 봅시다. (https://portal.azure.com) 아래와 같인 첫 화면이 나타나게 될 텐데요, 여기서 우리는 "SQL 데이터베이스" 를 클릭 합니다. 아무 데이터베이스도 존재하지 않겠죠? 이제 "+만들기"를 눌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 봅시다. 평가판이므로 "구독"에는 Azure subscription 1 이라는 내용이 자동 입력되어 있을 것이며, "리소스 그룹"은 새로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새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

Azure 2021.11.11

Azure Cloud 1년 무료 사용 계정 만들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AZURE CLOUD를 활용하여 클라우드 환경에서 SQL Server 등을 만들어 보기 위해 1년 무료 평가판을 가입하는 절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azure 포탈에 접속하여야 하는데요.. 주소는 https://portal.azure.com/ 입니다. 이미 ms 계정이 있다면, 로그인을 진행해 주시면 되며, 가입이 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의 계정만들기 링크를 통해 신규 계정을 생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우리는 "평가판"으로 무료(12개월)로 이용해 보는 것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평가판 시작"을 눌러 주세요. 다음의 화면에서 사용자 프로필을 작성하고, 등록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자인증 등 절차 진행) 다음 ..

Azure 2021.11.11

[스프링부트 7] Spring MVC View 만들기 (Thymeleaf)

지난 시간에는 스프링부트에서 jsp를 구동시키는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스프링부트에서 권장하는 view가 아니기 때문에 이번 시간에는 Thymeleaf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jsp와 Thymeleaf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간단히 살펴 보고 갈까요? jsp - 서블릿이라는 형태로 변환되어 동작하며 서블릿은 java소스라 jsp에서도 java 코드 사용이 가능해 집니다. 다만, 이때문에 view에 비지니스 로직이 포함되어 복잡해지고 무거워지는 단점이 발생합니다. (요즘은 jsp 내부에 비지니스 로직이 포함된 java 코드 삽입을 지양합니다.) - jar 패키징이 불가하며, war 패키징만 가능하고, jar와 달리 was가 필요합니다. Thymeleaf - View Template ..

SPRING BOOT 2021.11.11

[스프링부트 6] Spring MVC View 만들기 (JSP)

지난 시간에는 스프링 컨트롤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이번 시간부터는 VIEW에 대해 실습을 진행하며 알아보도록 합시다. [먼저, JSP 연동하기] 먼저, 스프링부트에서는 jsp가 자동설정되지 않으며 권장되지도 않습니다. 왜 스프링부투에서는 jsp를 권장하지 않을까요? 일단 jsp를 사용하면 JAR 패키징을 할 수 없고, 최근에 만들어진 서블릿 엔진이 JSP를 지원하지 않는 등 제약사항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간단한 설정을 통해 jsp 파일을 동작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먼저 프로젝트의 pom.xml 파일을 수정해 주도록 합시다. pom.xml 파일을 열어 구조에 맞게 아래의 코드를 추가 합니다. (POM : Project Object Mode의 약자) 1 2 3 4 5 6 7 8 9 1..

SPRING BOOT 2021.11.10

[스프링부트 5] Spring MVC Controller 만들기 2탄

지난 시간에는 @Controller 어노테이션(전통적인 Spring MVC 컨트롤러)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다시 간단하게 정리하여 볼까요? @Controller는 주로 View를 반환하기 위해 사용되며, Data를 반환할 수 도 있다는 것입니다. Data를 반환할 경우에는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활용하여 지난 예에서는 Json 형태로 데이터를 반환하는 예제를 만들어 보았었죠.. (@ResponseBody : 자바 객체를 http 요청의 body 내용으로 매핑) 근데.. 이러한 쓰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만약 Data만 반환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이때마다 모든 메서드에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나온 게 @RestControll..

SPRING BOOT 2021.11.10

[스프링부트 4] Spring MVC Controller 만들기 1탄

지난 포스팅에이어, 이번에는 Spring MVC를 사용하여 컨트롤러에서 페이지를 호출하는 예제를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다들 아시겠지만 간단히 MVC를 짚어 보자면 Model View Controller의 의미이며 스프링이 제공하는 웹 구축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Model은 무엇을 할 지에 대한 로직을 담고 비지니스 로직을 처리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View는 최종 사용자에게 결과를 화면(UI)로 보여주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Controller은 이 두 사이에 있는 컴포넌트로 Model이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즉,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Model이 업무 수행을 완료하면 그 결과를 가지고 화면을 생성하도록 View에 전달 하는 ..

SPRING BOOT 2021.11.09

[스프링부트 3] IntelliJ를 이용하여 스프링부트 개발 시작하기

이번 시간에는 IntelliJ를 이용하여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불러와 개발을 시작하는 과정을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인텔리제이를 실행 한 후, "Projects"탭에서 "Open"을 선택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지난시간에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구성한 F:project\springboot\mis를 선택하였습니다. 선택 후, "OK" 버튼을 눌러 줍니다. Maven 프로젝트를 인식하고 신뢰할 수 있는지를 묻는데, "체크" 박스 후 "Trust Project"를 클릭합니다. 인텔리제이가 실행된 후, 왼쪽의 프로젝트를 펼쳐 보면 아래와 같은 구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앞으로 사용할 java, resources 그리고 pom.xml 이 보입니다. 인덱스 화면을 실행해 보겠습니다. 스프링부트는 ..

SPRING BOOT 2021.11.09

[스프링부트 2] 스프링부트(Spring Initializr) 프로젝트 생성하기

인텔리제이(IDE) 설치는 지난번 시간에 완료 하였고, 이제 본격적인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해 봅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프링 이니셜라이즈(Spirng Initializr)을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아래의 사이트로 접속합니다. (스프링 이니셜라이즈 : Spring Initializr) | 스프링부트란? - Spring Framework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서브 프로젝트 를 의미합니다. | 특징은? - 단독 실행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 최소한의 스프링 구성을 통해 빠르게 구성하고 실행 할 수 있다. - 웹 컨테이너가 내장되어 있어, 최소의 설정으로 간편하게 web을 만들 수 있다. 위와 같이 서버가 내장되어 있고, 기타 시큐리티 셋팅이나 외부의 셋..

SPRING BOOT 2021.11.09

[스프링부트 1] 개발환경 IntelliJ (인텔리제이) 설치

스프링부트의 개발환경 구축을 위해 개발도구는 인텔리제이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먼저, 아래의 사이트로 접속하여 "커뮤니티" 버전(무료)를 다운받아 설치하면 됩니다. 간혹 스프링이 Ultimate에서만 지원되는줄 오해하는 경우가 있으나, 스프링라이브러리를 의미하므로 "커뮤니티" 버전(무료)로도 충분히 개발환경 구성이 가능함을 참고 해 주세요. (인텔리제이 다운로드 : Download IntelliJ IDEA: The Capable & Ergonomic Java IDE by JetBrains) 다운로드 받은 인텔리제이 설치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특별히 수정할 부분은 없으니 Next를 선택하여 계속 진행합니다. 아래와 같이 옵션에 체크하여 설치를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가 간단하게 완료..

SPRING BOOT 2021.11.09

M365 재택근무 Teams 챗봇 만들어 관리하기(with MS PowerApp)

요즘 코로나 등으로 인해 재택근무가 늘어나고 있는데요, 오늘은 M365의 Teams를 활용하여 재택 근태관리 봇을 만드는 방법을 포스팅 해 보려고 합니다. 특히, 코드없이 만들 수 있는 챗봇이기 때문에 초보자도 아래와 같이 진행하면서,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추가해 더 멋진 관리 봇을 만들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시간에 만들 재택근무 관리 봇에는 출근과 퇴근을 등록하고 업무계획과 업무일지를 관리할 수 있는 봇을 만들어 Teams에 탑재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M365에서 제공하고 있는 Power Apps를 사용하여 코드없는 지능형 챗봇을 구축해 보겠습니다. MS Power Apps (https://make.powerapps.com)에 접속하여 아래와 같이 "챗봇"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다음으로는 챗..

M365 2021.09.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