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간단한데도 잘 몰라서 사용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아, 팀즈에 "구성원 및 소유자"를 추가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포스팅해 두려 합니다.
팀즈를 사용하다 보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여러가지 "팀"을 만들어서
사용을 하실 텐데요~ 저 역시도 아래의 예시와 같이 많은 팀들에서 업무를 진행하고 있답니다.

간혹 신규 임직원이 생긴다거나, 해당 팀에 새로운 인물을 추가하고 싶을때.. 또는 내보내고 싶을 때..
방법을 몰라 문의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럴때 아주 간단하게 팀원을 추가하고 내보내는 방법을 알아 볼까요?
먼저, 아래와 같이 추가하고 싶은 "팀"을 마우스로 선택한 후 "오른쪽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멤버 추가" 버튼을 눌러 주시면 된답니다. (참 ~ 쉽죠?)

멤버 추가 버튼을 누르면 아래의 이미지와 같은 팝업창이 하나 나타나게 되는데요,
추가하고 싶은 임직원의 이름 또는 메일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인물이 나타나게 됩니다.
입력하거나 선택해 주시면 되겠죠?

여기서 두 가지 옵션을 골라 줄 수 있답니다.
"소유자"와 "구성원" 인데요, 차이점이 약간 있답니다.
먼저, "소유자"는 모든 내용에 대한 접근과 편집이 가능하고, 멤버 추가도 마음껏 할 수 있답니다.
하지만 "구성원"은 "접근"만 가능하고 편집 등은 불가능해요.. 즉 보거나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하는 단순한 작업은
모두 가능하지만 멤버를 추가한다던가 하는 권한은 없답니다. (멤버 초대는 가능하나 단, 소유자가 승인 해줘야 가능합니다)

이렇게 멤버를 추가하면 바로 짠~ 하고 적용되어 초대된 사람이 접근 가능하답니다!
이제, 제거하는 방법을 알아 볼까요?
위의 권한과 마찬가지로 제거하려면 "소유자" 권한만 가능하답니다.
만약 소유자 권한이 없다면 소유자 권한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 요청하여야합니다.
해당 팀의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팀 관리"에 들어가시면 된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구성원 및 게스트" (하단)에서 x 버튼을 이용해 제거 가능하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소유자"는 어떻게 제거 하냐구요? 아무리 찾아봐도 x버튼이 보이지 않거든요~
너무 간단하죠? "소유자"를 "구성원"으로 변경해 주고 삭제하면 된답니다.
소유자를 구성원으로 바꾸려면 아래 그림처럼 "역할"을 변경해 주시면 되요

오늘은 이렇게 구성원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 봤는데요~
사실 팀을 나가는 더 간단한 방법이 있어요!!
본인이 해당 팀 소속이 더 이상 아닐 경우, 직접 "팀 나가기" 하면 된답니다 ^^

이렇게 오늘은 간단하지만 잘 몰랐던 팀즈의 소유자, 구성원 관리 기능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답니다!
'Tea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API를 이용해 MS Teams(팀즈)에 연동하기 (3) | 2023.02.14 |
---|---|
팀즈(MS Teams)에서 채팅을 삭제하는 방법 (상황별 정리) (0) | 2021.11.16 |
Teams(팀즈) 어두운 테마 (다크모드) 적용하기 (0) | 2021.03.10 |
팀즈(Teams) 모임 화상회의 기능 알아보기 (0) | 2021.03.10 |
팀즈(Teams)에서 모임 및 화상회의 하기 (0) | 2021.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