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5

나만 몰랐던 블록체인#1 - 디파이(Defi)를 알아보자!

이 포스팅은 저처럼 코인을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분들과 함께 개념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게 공부해 가며 그 과정을 포스팅을 해 보려고 합니다. 참고로 저는 코인이라면 빗썸, 업비트 등에서 마치 주식과 같이 초보적인 수준에서 경험해 본게 전부 입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과 같이 막상 시작하려면..저와 같이... "코인을 할 돈도 준비되지 않았고..", "코인이 뭐길래..?", 아직..난.. "코인을 시작할 마음의 준비도 안되었어.." 라는 마음이 드실 거에요~ 저도 마찬가지 입니다. 자~ 그래서 결국 내가 공부해서 배워보자라는 마음으로 저는 오늘부터 하나하나씩 알아보고 배워가며 포스팅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먼저, 오늘은 디파이(Defi)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D..

DEX 2022.01.21

Scouter 오픈소스 APM으로 웹어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 하기 (무료)

Scouter는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프로그램으로 오픈소스 입니다. 간단하게 웹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관리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기본적으로 CPU 상태, Heap 메모리, GC, 데이터소스 커넥션풀, 스레드풀, 응답시간, 요청시간 등에 대해 실시간으로 성능을 모니터링 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응답시간에 따른 수행 쿼리에 대한 분석도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비슷한 상용 프로그램으로는 여러분이 잘 알고 있는 Jennifer(제니퍼 소프트) 프로그램을 떠올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니퍼소프트의 "제니퍼"의 UI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와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Scouter은 무료 오픈 소스로, GIT에 공개되어 있습니다. (htt..

IT etc 2021.12.21

Log4j2 취약점 (CVE-2021-44228) 대응 및 수정하기 (2.17.0 적용)

지난 12월 10일(금) apache 재단에서 개발 된 자바라이브러리 중 Log4j2에서 취약점이 보고 되었습니다. KISA에서는 취약점 해결을 위해 보안 업데이트를 권고하였는데요, 알려진 주요 취약점으로는 Log4j 2.x.x에서 발생하는 원격코드 실행 시, 악성코드 감염 등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만큼 긴급하게 패치가 필요하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위험도가 10점으로 가장 높은 위험도를 가지고 있는만큼 패치를 진행해 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Log4j 2.x.x는 아시다시피 어플리케이션의 로그를 남가기 위해 사용되는 오픈소스 인데요, 저의 경우 Maven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 대부분이라 권고 버전인 Log4j 버전 2.15.0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하려 합니다. ※ 12/20 내용추가 : 2.17.0 버전으로..

IT etc 2021.12.13

[스프링부트 10] Spring Boot 로그 설정해 보기

오늘은 지금까지 진행했던 개발환경에 log(로그)를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로그를 찍기 위해 logback을 이용하여 설정을 진행할 것인데요.. 스프링부트에서 기본제공되기 때문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jdbc(db)에 대한 로그 설정은 log4jdbc를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먼저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아래와 같이 로그 레벨 정보를 설정해 주도록 합시다. 아래와 같이, 컨트롤러나 서비스별로도 찍고 싶은 로그의 단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DB의 로그를 보기 위해서는 지난 시간에 데이터소스 연결 했던 부분을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여 log4jdbc가 작동할 수 있도록 수정해 주셔야 합니다. (하단의 빨간색 박스를 화살표와 같이 수정..

SPRING BOOT 2021.11.30

Azure WebApp 에서 SSL인증서 갱신 하기(기간 만료 시)

Azure서비스 중 하나로 Webapp을 이용하여 웹서비스를 운영하다가 ssl 인증서가 만료되어, 갱신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포스팅 하려 한다. 먼저 azure portal에 접속하여 왼쪽 메뉴 중 "TLS/SSL 설정" 부분으로 들어간다. 이 부분에서 우리는 인증서의 갱신만 진행할 것이므로 1) 프라이빈 키 인증서(.pfx) 탭을 클릭하여 이동한다. 그럼 아래와 같이 "만료된 인증서"가 보일 것이다. 일단 나중에 제거하기로 하고, 새로 갱신된 인증서 적용을 위해 2) 인증서 업로드 버튼을 클릭하자 그럼 오른쪽에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날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갱신할 인증서 파일을 선택해 주고, 인증서의 비밀번호를 적용하여 "업로드" 해 주면 인증서가 추가 될 것이다...

Azure 2021.11.22

[스프링부트 9] Spring Boot 데이터베이스(MSSQL) 연결 2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DB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조회해서 VIEW에 가져와 보겠습니다 먼저 sample.xml 쿼리문을 예로 생성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지난시간에 생성되었던 resourecs/mybatis/ 경로 밑에 sample.xml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작성해 줍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SELECT CD_COMPANY as company, ID_USER as id, NO_EMP as no FROM MOBILE_EMP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위의 예제는 MyBatis에서 Result를 ResultType를 이용해 VO로 처리할 것이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ResultMap도 있으니 알아두자. Resul..

SPRING BOOT 2021.11.22

IntelliJ GitHub에서 Repositories 가져오기

먼저, IntelliJ에서 GIT을 사용하려면 GI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여기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를 진행합시다 (특별한 것 없이 그냥 NEXT로 진행해서 설치하면 됩니다.) GIT이 설치 완료 되었다면, IntelliJ에서 아래의 메뉴로 들어가서 셋팅을 진행합니다. 위와 같이 Settings로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검색하여 설정 페이지로 진입합니다. git을 검색하여 3)폴더 아이콘을 누른 뒤, 위에서 git을 설치하였던 경로에서 git.exe 파일까지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진행하면 됩니다. 여기까지 진행하셨다면 IntelliJ에 git 설정까지는 완료 되었고, 이제 GitHub 를 선택하여, 아래 이미지와 같이 + 버튼을 눌러 선택해 ..

IT etc 2021.11.19

[스프링부트 8] Spring Boot 데이터베이스(MSSQL) 연결 1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시간까지 진행되었던 JSP와 Thymeleaf에 DB를 연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YSQL, MariaDB, MSSQL 등 여러가지 DB의 종류가 있지만 MS Azure 포탈을 이용하여 무료로 CLOUD MSSQL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놓은 포스팅이 있어, 이번 시간에는 MSSQL로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어떤 DB를 써도 아무런 문제가 될 것은 없습니다. ) 아! 혹시 Azure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MSSQL DATABASE를 구현해서 실습을 따라 하실 분들은, 여기 링크로 이동하여 DATABASE를 만들고 진행하시면 더 편하실 것 입니다. 자, 이제 시작해 보겠습니다. 먼저 이론을 좀 설명해 드릴께요.. JDBC라는 용어를 한번쯤은 들어 보신 적 있으실 것 입니다. ..

SPRING BOOT 2021.11.17

팀즈(MS Teams)에서 채팅을 삭제하는 방법 (상황별 정리)

이번시간에는 Microsoft 팀즈에서 채팅을 삭제해야 하는 케이스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ase1) MS Teams에서 단일 채팅 메시지 삭제 (내가 작성한 메시지) : 제거하고 싶은 메시지에 마우스 오버하여 세 점을 클릭하면 펼침 메뉴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삭제" 를 선택하면 메시지가 삭제 됩니다. : 메시지를 삭제하면 다른 사람들은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뭔가 삭제되었다는 흔적은 상대방이 알 수 있습니다. (메시지가 삭제되었다는 메모가 남기 때문입니다.) : 잘못 삭제한 경우 "실행 취소" 를 선택하여 되돌릴 수 있습니다. Case2) MS Teams 모바일앱에서 단일 채팅 메시지 삭제 (내가 작성한 메시지) : 모바일 앱에서 삭제하려는 채팅 메시지를 길게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

Teams 2021.11.16

AZURE MS SQL 데이터베이스 관리하기 (SSMS)

지난 포스팅에서는 SQL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 보았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통해 예제로 간단하게 살펴 볼까요? 1) 저희가 지난 시간에 생성한 데이터베이스 이름은 SampleDB라는 이름으로 생성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생성 할 때 사용한 서버이름 아이디는 아래와 같이 korea로 되어 있네요.. (여러분은 고유한 값으로 서버이름을 지정하셨을 것 입니다.) 3) 서버이름은 서버접속 주소로도 사용되므로 꼭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SSMS 연결 시 필요합니다.) 이제 테이블, 뷰 등등 여러가지 작업만 진행되면 될 것 입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쿼리를 사용하여 바로 작업이 가능합니다. 한번 알아 볼까요? 하단과 같이 1)"쿼리 편집기(미리보기)"를 클릭해 주세요. 2) 지난번 시간에 생성하였던 관리..

Azure 2021.11.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