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클레이튼(카카오의 블록체인 자회사 그라운드X가 개발한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 에서 개발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상 부동산 서비스인 클레이랜드의 땅을 NFT 구매해 보는 포스팅을 진행하려 합니다.

클레이랜드(https://klayland.xyz) 는 카카오의 블록체인 개발업체인 그라운드X에서 개발한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 부동산" 서비스 입니다.
클레이랜드는 현재 1.0 버전으로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며, 1.0에서는 클레이튼 기반의 NFT를 활용합니다.
쉽게 생각하면 땅 문서를 NFT로 발급하고 그 NFT를 구매하려면 클레이(KALY)라는 코인을 사용하여 구매가 가능합니다.
현재는 2D기반으로 서울 지역에 한해 땅을 거래할 수 있는데요,
구매한 땅에 이미지나 URL을 삽입해서 광고 매체의 효과를 주고 이를 통해 땅을 소유한 사람들은 일정의 수익을 취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로드맵을 보면, 향후 건물이나 빌딩을 땅위에 올리고.. 이를 XR로 개발하고.. 캐릭터와 실물 쇼핑 커머스까지 연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서비스 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관련 로드맵 참고 해주세요 - https://klayland.xyz/roadmap)
자.. 그럼 오늘의 포스팅은 클레이랜드의 서울 땅을 NFT 구매해 보려고 합니다.
지난 1월경 1차~3차 민팅을 통해 클레이랜드 구매가 진행되었고, 저는 이 민팅에 참여를 못했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남이 내 놓은 서울 땅 NFT를 오픈씨(OpenSea, the largest NFT marketplace)에서 구매해 보려고 합니다.
가장 중요한... "대체.. 왜? 실존하지도 않는 땅(NFT)를 구매하려 하는가?" 이 부분에 대해서 궁금하실텐데요..
최근에 읽고 있는 책인 "메타버스3.0"이라는 책을 읽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공부를 하기 위해 이렇게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당장 이런 가상 부동산에 가격이 얼마가 올라서 얼마를 벌고.. 이런게 중요한게 아니라..
뒤쳐지는 느낌을 심하게 받아.. 실전에 도전해가며 공부하기 위해 이 포스팅을 진행함을 먼저 안내드립니다.

공부하는 마음으로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1."지갑"생성 (클레이(KLAY) NFT 거래를 위한 카이카스 지갑 만들기 (tistory.com))
2."클레이 코인" 구매
에 대해서는 생략 하겠습니다.
해당 방법이 궁금하시면 별도 포스팅된 링크가 있으니 확인해 주시고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진행순서] 1. 카이카스 지갑 생성 : 레이튼 기반의 클레이(KLAY) 코인을 담을 수 있는 지갑을 생성하기 위함 2. 클레이(KLAY) 코인 구매 : 가상 부동산을 구매하기 위해 코인을 구매해야 합니다. : 다양한 방법으로 구매가 가능하나 이 포스팅에서는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3. 오픈씨에 등록된 클레이랜드 땅 NFT 조회 : 거래가 가능한 클레이랜드 땅(NFT)를 조회하기 위함 4. 클레이랜드에서 해당 땅(NFT)의 위치 조회 : 내가 구매하려고 한 NFT의 좌표를 참조하여 어느 위치인지 알아야 하겠죠? 5. 오픈씨에서 원하는 클레이랜드 땅 NFT 구매 |
위 1번과 2번 과정이 준비되었다고 가정하고, 3번부터 진행해 보겠습니다.
오픈씨에 등록된 클레이랜드 땅 NFT 조회을 조회하고 클레이랜드에서 어느 위치인지 확인하여 구매를 진행하겠습니다.
먼저, 크롬에서 오픈씨(OpenSea, the largest NFT marketplace)에 접속해 주세요
오픈씨에 등록해서 위에서 생성하였던 "카이카스" 지갑을 연결해 주세요.
오픈씨 오른쪽 위의 지갑모양 아이콘을 눌러 "카이카스" 지갑을 연결합니다.

오픈씨 검색창에 "KLAYLAND"를 검색하면 거래가 가능한 NFT 목록이 나타납니다.

오른쪽에 마침표(.) 붙은건 유사품인가요?
왼쪽께 진짜 클레이랜드 입니다. (주의)

하단으로 이동해서, 필터링을 1)낮은 가격부터 조회되도록 변경하여 검색합니다.
실제 이걸 구매해서 돈을 벌기 보다는 공부하는 과정이니 제일 싼 것을 사겠습니다.
2)에서 좌표정보와 클레이 가격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좌표가 (198, 137)이라면.. 클레이랜드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 땅인지 알아 보고 사야겠죠?
클레이랜드(KLAYLAND :: 8,967개의 부동산 NFT)로 접속하여 "맵보러가기"를 클릭합니다.
아래 이미지의 1)에 조회할 좌표를 쉼표로 구분하여 입력합니다.
화살표 이미지가 제가 조회한 땅이고, 현재 누가 소유하고 있는지... 위치가 어디인지 나오네요~

이제 다시, 오픈씨로 이동하여 구매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제가 구매하려는 좌표가 맞는지 확인하고 "Buy Now" 버튼을 눌러 줍니다.
반드시 소유자 주소를 비교하세요.. (저처럼 헛짓할 위험이 있습니다.)

만약) 유사품인 경우에는 아래와같이 검증되지 않은 콜렉션에 대한 경고문구가 나오네요,
"동의" 버튼에 체크하시고 다음 단계로 넘어 가시면 엉뚱한것을 살 수 있어요~
(아래 설명하겠지만;; 제가 여기에 당해서;;; 여러분은 주의하세요~)
중요:아래와 같이 나오면 유사품입니다.

정상적으로 진행이 된다면, 아래와 같이 이렇게 넘어가야 합니다.

100클레이 코인이 필요하네요~ 클리브랜드에 수수료로 7.5%가 포함되어 있음이 나오네요~
동의 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합니다.
실제 거래를 위해서는 KLAY를 WKLAY로 변환해야 한다고 하네요~
가격이 100클레이니 입력하고 Convert 를 눌러 줍니다.

Convert를 누르면, 카이카스 지갑이 열리면서 거래 트랜잭션 확인을 거치게 됩니다.
확인을 누르고 잠시 기다리시면 트랜잭션이 성공됩니다.

다음은 카이카스 지갑을 이용하여 서명이 진행되게 됩니다.


자, 이제 잠시 기다리면 클레이랜드 땅 NFT 구매가 완료될 것 입니다.
구매한 내역을 살펴 볼까요?
자! 여기서... 눈치채셨겠지만.. 제가 유사품을 구매해서 ㅠㅠ
결국 다시 샀습니다.... 아래 이미지의 오른쪽께 방금 진행한 내용 입니다.
(유사품에 속지 맙시다.. ㅠㅠ)
돈은 썼지만.. 하나 또 배워가네요 ㅠㅠ

이제, 이 땅은 제 땅인겁니다. 이번엔 확실하게 확인해 봅시다.
다시 클레이랜드도 돌아와서 제가 방금 구매한 좌표를 검색해서 선택해 줍니다.
오른쪽에 정확히 제 정보가 입력되었고, 이미지와 URL 링크도 넣을 수 있는 권한이 생겼군요;;;

이미지와 URL, 설명을 입력하고 저장해 보았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오픈씨를 이용해서 클레이랜드 NFT 땅을 구매하는 과정을 포스팅하여 보았습니다.
다시 한번 쓰지만..이걸 가지고 멀 하겠다는 의도는 아니구요..
이런 세상이 있구나;;;;;
공부를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포스팅에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처럼 사기 당하지 마시구요;;ㅎㅎ경험으로 배우네요;;;)
다음 포스팅에는 이렇게 구매한 클레이랜드 땅 NFT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N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레이(KLAY) NFT 거래를 위한 카이카스 지갑 만들기 (0) | 2022.02.09 |
---|